학창 시절, '향찰', '4구체', '10구체' 등 어려운 용어 때문에 고전 문학의 첫 장벽처럼 느껴졌던 '향가'. 하지만 향가는 박제된 유물이 아니라, 천 년 전 신라인들의 희로애락이 담긴 생생한 목소리입니다. 왕의 사랑 노래부터 누이의 죽음을 애도하는 슬픔, 화랑의 기개를 찬양하는 마음에 이르기까지. 오늘은 어려운 문법 대신 그 속에 담긴 이야기에 집중하며, 신라 시대로 떠나는 특별한 문학 여행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
1. 향가(鄕歌)란 무엇인가요? 📜
향가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된 우리 고유의 정형시입니다. 이름 그대로 '우리나라(鄕)의 노래(歌)'라는 뜻으로, 당시 유행하던 중국의 시(한시)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죠. 향가의 가장 큰 특징은 '향찰(鄕札)'이라는 독특한 표기법으로 기록되었다는 점입니다.
당시 우리에겐 고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한자의 뜻(훈)과 소리(음)를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하는 방식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이는 한문 문장에 토를 다는 수준의 '이두'나 '구결'보다 훨씬 발전된, 우리말을 온전히 담아내려는 신라인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부분입니다.
작자층은 매우 다양했습니다. 화랑, 승려와 같은 지식인 계층부터 여염집 아낙네, 무명의 노인까지 폭넓은 계층이 향가를 짓고 불렀습니다. 이 때문에 불교적 신앙심, 화랑의 기상, 남녀 간의 사랑, 삶의 애환 등 다채로운 주제가 담길 수 있었습니다.
2. 대표적인 향가 작품 감상 🎶
현재까지 전해지는 향가는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 등 총 25수뿐이지만, 한 편 한 편이 신라의 시대상을 담은 보석 같은 작품들입니다. 그중 대표적인 네 작품을 만나보시죠.
① 서동요 (薯童謠) - 사랑을 위한 전략적인 노래
가장 오래된 향가로 알려진 4구체 민요입니다. 백제 무왕이 어릴 적(서동),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일부러 아이들에게 퍼뜨린 노래입니다.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 두고
서동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이 노래는 순식간에 서라벌에 퍼졌고, 결국 선화공주는 궁에서 쫓겨나 서동과 인연을 맺게 됩니다. 정치적, 개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민심을 움직인 '참요(讖謠)'의 성격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② 헌화가 (獻花歌) - 아름다움에 바친 순수한 연가
신라 최고의 미녀 수로부인이 벼랑에 핀 철쭉꽃을 보고 갖고 싶어 하자, 암소를 끌고 가던 한 노인이 위험을 무릅쓰고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4구체 향가입니다.
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신분과 나이를 초월해 아름다움에 대한 순수한 찬미와 연정을 드러낸 서정시의 백미로, 종교나 주술적 색채가 없는 개인의 정서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③ 찬기파랑가 (讚耆婆郎歌) - 잣나무처럼 푸르른 화랑의 기상
승려 충담사가 화랑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입니다. 달, 조약돌, 잣나무 등 자연물에 빗대어 기파랑의 인품을 그려낸 비유가 매우 뛰어납니다.
(...)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마지막 구절의 '고깔'은 화랑의 우두머리를 상징하며, 어떤 시련(눈)에도 굴하지 않는 기파랑의 높은 절개와 기상을 예찬합니다. 향가 중에서도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④ 제망매가 (祭亡妹歌) - 죽은 누이를 위한 슬픔과 초월의 노래
승려 월명사가 요절한 누이를 위해 제사를 지내며 부른 10구체 향가입니다. 혈육을 잃은 인간적인 슬픔을 종교적 믿음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이 절절하게 담겨 있습니다.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남매를 '한 가지에 난 잎'으로, 누이의 요절을 '이른 바람에 떨어진 잎'으로 비유한 표현은 가히 압권입니다. 슬픔에만 머무르지 않고 불교적 믿음으로 재회를 소망하며 마무리하는 시상 전개는 향가 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3.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
비록 적은 수의 작품만 전해지지만, 향가는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그 의의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 향가의 가치
비록 해독이 어려워 쉽게 다가가기 힘든 면도 있지만, 그 속에 담긴 신라인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마음을 느끼기엔 부족함이 없습니다. 천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도착한 노래, 향가를 통해 고대인들과 마음으로 대화하는 특별한 경험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