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구 문제 풀이

열기구 예상 문제 정리

열기구 예상 문제 정리

1. 비행에 있어서 책임자의 올바른 정의는?

  • 비행의 실시 책임자로, 통상 기장이 해당된다.
  • 기장은 비행에 관한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2. 파일럿 로그란 무엇인가?

  • 조종 훈련 시부터 기입하는 개인의 비행기록이다.
  • 첫 비행부터 모든 비행에 대해 기재되어야 하며, 기장의 서명이 필요하다.

3. 솔로비행의 올바른 정의는?

  • 파일럿 혹은 일정한 조건을 갖춘 훈련생이 단독으로 비행하는 것을 말한다.
  • 단독비행은 열기구 탑승 인원이 1명인 비행을 의미한다.

4. 열기구 비행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구름은?

  • 적운은 열기구 비행에 바람직하지 않은 구름이다.
  • 적운이나 적란운 같은 덩어리진 구름은 강한 수직 상승기류에 의해 발생한다.
  • 특히, 적란운은 격렬한 상승 기류에 의해 발달한 구름이므로, 적란운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비행해서는 안 된다.

5. 서멀(thermal)의 특성으로 잘못된 것은?

  • 서멀의 중심에는 강력한 하강풍이 있고, 열기구 비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서멀은 일사로 지상이 가열될 때 지표의 온도 불균형에 의해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상승 기류이다.
  • 상승기류 주변에는 하강기류가 존재한다.
  • 비닐 하우스, 열기구 등의 인공적인 열원에서도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 지면 가열이 약한 적설면이나 수면에서는 서멀이 발생하기 어렵다.
  • 이른 아침 민가의 상공이나 열기구 바로 위에서도 서멀이 발생할 수 있다.

6. 1기압은 몇 hPa 인가?

  • 1기압은 1,013hPa이다.

7. ICAO가 정하고 있는 표준대기의 기온감율은?

  • ICAO가 정하고 있는 표준대기의 기온감율은 100m당 0.65℃이다.
  • 건조한 공기에서는 100m당 1.0℃, 습한 공기에서는 100m당 0.5~0.6℃이다.

8. 고도 1,000ft로 비행 중 비닐봉투가 떠 있는 것을 잡았다. 이때 기구의 상태는?

  • 서멀이 발생하여 상승 중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본래 지표 부근에 있는 비닐봉투가 1,000ft 상공에 떠 있는 것은 서멀이 발생해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온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9. 국지풍에 대해 잘못된 설명은?

  • 풍속이 빠를수록 지상의 장애물에 의한 난기류는 작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바람은 풍속이 빠를수록 작은 장애물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흐트러지기 시작한다.
  • 강, 호수 상공에서는 하강기류가 일어나기 쉽다.
  • 공장 상공에서는 강한 상승 기류가 있을 때가 있다.
  • 산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서는 열기구를 당기는 기류가 있다.

10. 프로판 용기의 보관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 "프로판은 산화하므로 장기간 충전한 채로 용기를 보관할 수 없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프로판은 산화 반응과는 관계없이 연소한다.
  •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판을 충전한 채로 용기를 보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프로판을 충전한 용기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 밀폐된 장소나 열원에 가까운 곳에 보관해서는 안 된다.

11. 프로판의 연소범위는 공기 중에 몇% 포함 되었을 때인가?

  • 프로판의 연소범위는 공기 중에 2.4%~9.5% 포함되었을 때이다.

12. 용적 2,000 입방미터 열기구의 FAI(국제항공연맹) 클래스는?

  • 용적 2,000 입방미터 열기구는 FAI 클래스 AX-7에 속한다.
  • FAI 클래스 분류는 다음과 같다: AX-6: 1200m³~1600m³, AX-7: 1600m³~2200m³, AX-8: 2200m³~3000m³, AX-9: 3000m³~4000m³.

13. 기체로그에 대해 올바른 것은?

  • 기체로그는 모든 비행 기록 외에 보수나 계류에 관한 사항도 기록한다.
  • 기구의 기체 로그는 그 기구의 과거 이력이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기록이다.
  • 자유 비행 기록뿐만 아니라 계류, 보수 등 모든 것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 기체를 손상시켰을 경우에도 손상 상황을 기입해야 한다.

14. 열기구의 정비를 책임지는 사람은?

  • 열기구의 정비는 관리자가 책임진다.

15. 엔벌로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것은?

  •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 나일론 같은 화학 섬유는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고 수분으로 강도가 떨어지며, 장시간 고온에 방치하면 열적 피로로 열화한다.
  • 습기 찬 장소에 보관하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16. 엔벌로프에 요구되는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 "환기성이 좋아야 한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엔벌로프는 가볍고 찢어짐에 강하며, 인장강도, 내후성, 내열성, 기밀성 등이 요구된다.

17. 버너에 관하여 올바른 것은?

  • 버너의 연료 공급은 2계통 이상 필요하다.
  • 버너의 화력이 부력을 발생시키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에 고장 시 안전을 위해 연료 공급 계통은 2개 이상이 필요하다.
  • 코일 부분은 내열성이 높고 녹슬기 어려운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로 사용된다.

18. 버너 코일의 사용목적은?

  • 버너 코일은 연료 기화의 촉진을 위해 사용된다.
  • 액체 프로판을 가열하여 강제로 기화시켜 완전 연소를 돕는다.

19. 항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 항적으로는 지점에서의 풍향, 풍속과 향후 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필요 시간을 추측할 수 있다.
  • 항적은 그 지점까지의 궤적을 나타낸다.

20. MSL과 AGL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MSL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고도를 나타내고, AGL은 대지 고도를 나타낸다.

21. GPS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GPS는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로 지구상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어이다.

22. 고도 500ft로 비행 중에 바로 아래 농가의 소가 보였다. 올바른 것은?

  • 크루즈 버너를 사용한다.
  • 가축은 버너 소리에 놀라거나 건강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낮은 고도(500ft)에서 비행 시에는 소리가 작은 크루즈 버너(사일런스 버너)를 사용해야 한다.

23. 착륙 시 가스의 양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열기구 비행 안전 규정에 따라, 착륙 후 적어도 1개의 실린더에 20% 이상의 연료가 남아 있어야 한다.

24. 비행 중에 아래에서 다른 기구가 상승해 올 경우 잘못된 것은?

  • "증거를 위해 사진을 찍어 둔다"는 행동은 잘못되었다.
  • 우선권은 아래쪽 기구에 있으므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신속하게 상승해야 한다.
  • 호각이나 신호기구를 이용하여 아래쪽 기구에 위에 열기구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25. 비행 통보한 공역의 경계가 가까워졌을 경우 올바른 것은?

  • 착륙지를 찾아 신속하게 착륙해야 한다.
  • 비행은 비행 통보한 공역 내에서만 실시해야 한다.
  • 만약 공역 밖으로 나갔을 경우, 신속하게 착륙하고 비행 통보서를 제출한 기관에 상황을 연락해야 한다.

26. 윈드시아를 받았을 때 잘못된 것은?

  • "그 고도를 유지한다"는 행동은 잘못되었다.
  • 윈드시아를 만났을 때에는 고도를 바꾸어 윈드시아가 있는 층에서 벗어나야 한다.
  • 윈드시아를 받으면 엔벌로프가 변형되어 안의 열기가 빠져나가 부력이 감소할 수 있다.
  • 개구부로 역풍이 불어 파일럿 버너가 꺼지거나 불길이 역류할 수도 있다.

27. 비행 중 파일럿 버너가 사용불능이 되었다. 적절한 조치는?

  • 운용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게 착륙해야 한다.
  • 저고도 비행 중에는 지상 상황에 따라 하드랜딩을 각오하고 착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매뉴얼에 기재된 방법대로 대처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는 메인 버너 밸브를 열고 실린더의 메인 밸브 개폐 조작으로 기구를 조종하여 대처한다.

28. 상승 시의 행동으로 잘못된 것은?

  • "바스켓 안의 물건을 버려 부력을 얻어 상승한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어떠한 경우에도 제3자의 생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물건을 기구에서 투하해서는 안 된다.
  • 상승 시에는 상공의 다른 열기구 유무를 확인해야 하며, 지상 크루와 연락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 구름 속에서는 시야가 나빠져 시계 비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구름에 주의해야 한다.
  • 상승 중 과도한 가열로 오버히트가 되기 쉬우므로 승강계나 엔벌로프 온도계에 주의해야 한다.

29. 착륙 전 준비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 연료의 양을 확인한다.
  • 파일럿은 크루나 탑승객에게 착륙 사실을 알리고, 탑재 기재의 고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탑승객에게 진행 방향과 착륙 지점을 확인시키고, 바스켓 안쪽에 몸을 고정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30. 하드랜딩이 예상될 때 잘못된 것은?

  • "지상에 도착 즉시 내리도록 탑승객에게 지시한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 기구가 완전히 정지하고 배기가 끝날 때까지 바스켓에서 나오지 않도록 탑승객에게 지시해야 한다.
  • 하드랜딩이 예상될 때, 기장은 탑승객에게 하드랜딩이 될 것을 알리고 몸을 고정하도록 해야 한다.
  • 파일럿 버너는 접지 전에 완전히 끄고, 실린더의 메인 밸브를 닫고 연료호스 내의 잔류 가스를 비워야 한다.
  • 충격에 대비하고 립 라인을 당긴다.

31. 열기구의 최초 제작자와 최초 열기구의 구피(Envelope)의 재료는 무엇인가?

  • 최초 제작자는 몽골피에 형제(Montgolfier Brothers)이고, 최초 열기구의 구피 재료는 종이(Paper)이다.

32. 다음 보기 중에서 열기구 비행에 가장 알맞은 기상을 고르시오.

  • 지상에서 6m/sec의 바람이 부는 날.
  • 지상에서 바람이 7.7m/sec(15knots) 이상이거나, gust(돌풍)가 있을 경우 5.1m/sec(10knots) 이상에서는 비행을 금한다.
  • 안개가 심하면 시계 확보가 안되어 비행이 불가능하며, 적란운(비구름)이 있는 날도 비행을 금지한다.

33. 77,000 cu.ft 의 열기구에서 비행을 위한 연료의 최소 압력은?

  • 77,000 cu.ft 크기의 열기구에서 비행을 위한 연료의 최소 압력은 3 bar (44psi)이다.
  • 340,000 cu.ft 이하의 열기구에서는 연료의 최소 압력을 3bar(44psi)로 규정하고 있다.

34. 다음 보기 중에서 차림이 가장 양호한 크루는?

  • 여러 겹의 옷을 입은 크루가 가장 양호한 차림이다.

35.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행을 위하여 빠뜨리는 사항이 없도록 확인하는 것은 무엇인가?

  • 체크리스트이다.

36. 비행 준비 시 로딩차트를 통해 로드를 계산한다. 이 때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 공기(Air)는 로딩차트 계산 시 포함되지 않는다.
  • 구피(Envelope), 조종사, 연료탱크 등은 포함된다.

37. 로딩차트에서 제시하는 부력(Lift)은 구피(envelope) 안의 온도가 얼마 일 때를 기준으로 하는가?

  • 100℃를 기준으로 한다.

38. 다음 중 계류비행(Tethering) 로프로 가장 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 나일론 로프가 가장 적당하다.

39. 일반 열기구 정밀 검사의 주기는 얼마인가?

  • 일반적으로 자가용 열기구는 2년, 상업용 열기구는 1년 주기로 정밀 검사를 받는다.

40. 다음 열기구의 취급 방법 중 옳은 것은?

  • 지원한 사람에게 크루의 임무를 줄 수 있다.
  • 장비를 차에서 떨어뜨려 내리거나, 신발을 신은 채로 구피(envelope)를 밟거나, 장비를 땅에서 끌어 옮기는 것은 잘못된 취급 방법이다.

41. 수평비행(Level Flight)이 가능한 상태는 언제인가?

  • 부력(Lift)과 중력(중량)이 같아질 때 수평비행이 가능하다.

42. 다음 중 인플레이션(Inflation) 장소로 가장 적합한 그라운드 상태는?

  • 부드러운 풀밭이 가장 적합하다.
  • 열기구 천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마찰이 적은 부드러운 풀밭이 적당하다.

43. 바람이 북에서 남으로 불고 있다. 열기구의 마우스에서 크라운을 어느 쪽으로 전개해야 하는가?

  • 북에서 남으로 전개해야 한다.
  • 열기구는 바람이 부는 쪽에서 불어가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

44. 다음 중 크라운 크루의 역할 중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 이상한 사항이 있으면 파일럿에게 알린다.
  • 크루는 강한 장갑과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 크라운 라인을 몸에 묶거나 고리를 만들지 않아야 하며, 구경꾼의 도움을 거절해야 한다.

45. 열기구 탑승 전 페신저(Passengers)들에게 브리핑을 한다. 다음 중 내용이 가장 알맞은 것은?

  • 바스켓 안의 로프 핸들을 잡고 랜딩에 대비한다.
  • 승객은 연료 호스, 밸브, 조종 라인을 잡지 않아야 한다.
  • 바스켓 안의 로프 핸들을 양손으로 잡고 무릎을 약간 굽혀야 한다.
  • 카메라와 같은 물품은 케이스에 넣거나 랜딩 전에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 랜딩 후에도 파일럿의 허락 없이는 바스켓 밖으로 나오면 안 된다.

46. 기상이 안정적이고 지상풍이 거의 없는 날 AX6 크기의 열기구를 인플레이션 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최소의 인원은 몇 명 인지를 다음 보기에서 고르면?

  • 파일럿 1명으로도 비행이 가능하다.

47. 비행 중 전력선과 충돌을 피할 수 없을 때 기구의 어느 부분으로 접촉 해야 하는가?

  • 구피(Envelope) 부분으로 접촉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충돌 전 연료 밸브를 잠그고 연료 라인에 있는 연료를 비워야 하며, 충돌 시 금속 부분을 만져서는 안 된다.

48. 다음 중 비행 시 실린더 교환에 대한 올바른 방법이 아닌 것은?

  • "기구가 하강 중에 실시한다"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 실린더 교환은 충분한 고도에서 상승하면서 실시해야 한다.
  • 연료 라인의 잔류 가스를 제거하고 교환해야 하며, 고압선이나 건물 부근에서의 교환은 피해야 한다.

49. 보통 큰 기구에는 빠른 디플레이션(Deflation) 시스템을 적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언제 사용하는게 가장 적당한가?

  • 랜딩 시 지상에 접지 직전이나 접지 순간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 이 시스템은 큰 기구의 많은 양의 열기를 빠르게 빼내기 위해 사용되며, 지상 2m 이상의 높이에서는 사용을 금하고 있다.

50. 다음 중 열기구 보관에 있어 장비에 해가 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어둠은 장비에 해가 되는 요소가 아니다.
  • 습기, 열, 햇빛(자외선)은 장비에 해가 된다.

51. 지상의 온도가 14℃ 일때 지상 300m에서의 온도를 다음 보기에서 고르면 무엇인가? (단, ICAO에서 정하는 표준대기의 기온 강하율을 적용하시오)

  • 약 12℃이다.
  • ICAO 표준대기 기온 강하율은 100m당 0.65℃이다. 따라서 300m 상승 시 14℃ - (0.65℃ * 3) = 14℃ - 1.95℃ = 12.05℃이므로, 약 12℃이다.

52. 계류비행(Tethering) 시 로딩차트에서 제시한 부력(Lift)의 몇 %의 로드 (무게)를 권장하는가?

  • 75%의 로드를 권장한다.

53. 액체 프로판가스의 기화점(boiling point)의 온도는 몇 ℃ 인가?

  • 액체 프로판가스의 기화점은 -43℃이다.
  • 부탄의 기화점은 0℃이다.

54. 열기구 조종사가 되기 위한 자격 나이는 몇세 이상인가?

  • 만 14세 이상이다.

55. 다음 손상(Damage)중 반드시 수리 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무엇인가?

  • 마우스 근처의 30cm 정도의 찢어짐은 반드시 수리하지 않아도 된다.
  • 버너, 연료 시스템, 로드 테이프의 손상은 어떠한 경우라도 허용되지 않는다.
  • 마우스 근처의 찢어짐은 1m까지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56. 인플레이션(Inflation)시 연료의 압력은 이상이 없는데 버너가 빨갛게 달구어지고 화력이 약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 원인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 실린더의 위치가 잘못 고정되어 LPG 기체가 버너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 기체가 들어가 연소되면 화력이 약하고 버너 코일이 빨갛게 달구어진다.

57. 여름철과 겨울철의 비행조건을 비교하면 연료의 압력은 ( )이 높고 로드는 ( )이 많은 무게로 비행이 가능하다. ( )안에 순서대로 알맞은 말은?

  • 여름, 겨울.
  • 여름철에는 연료의 압력은 높지만, 구피 내 기준 온도와 주변 온도 차이가 작아 겨울철에 비해 많은 무게를 싣고 비행할 수 없다.
  • 겨울철에는 주변 온도가 낮아 연료의 압력은 여름철보다 낮다.

58. 다음은 패러슈트(Parachute Valve)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은 것은 무엇인가?

  • 사용 시 뜨거운 공기의 빠짐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 비행 전에 작동 여부와 정렬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사용은 3초 정도로 제한하며, 오랜 시간 사용하면 목조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59. 다음 중 버너 지지대(Pole)의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 나일론 66(Nylon 66)이 가장 적합하다.
  • 버너 지지대는 강도가 충분하면서 유연하고 열에 강해야 하는데, 이 조건을 고려할 때 나일론 66가 물성이 우수하다.

60. 기구의 이륙 직전이나 계류비행(Tethering) 시 바람에 의해 구피(Envelope)의 찌그러짐이 생긴다. 이로 인해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가 부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스쿠프(Scoop)이다.
  • 스쿠프(scoop)나 스커트(skirt)는 기구의 이륙 직전이나 계류비행 시 바람에 의해 구피의 부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 이 부분은 열에 강한 노멕스(Nomex) 천으로 제작된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