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린 위, 홀컵에 바짝 붙은 짧은 퍼트. 동반자가 쿨하게 외칩니다. "오케이!" 이 한마디에 우리는 공을 집어 들고 다음 홀로 이동하죠. 이처럼 '오케이' 또는 '컨시드(Concede)'는 아마추어 골프, 특히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독특한 문화입니다. 하지만 공식 골프 규칙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 '암묵적인 룰' 때문에 때로는 동반자들과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과연 오케이의 적정 거리는 어디까지일까요? 😊
'컨시드'란 무엇이고 왜 줄까? 🤔
**컨시드**란, 상대방의 다음 샷이 너무 쉬워서 명백히 성공할 것이라 판단될 때, 그 샷을 실제도 하지 않고 성공한 것으로 인정해 주는 행위입니다. 원래는 1:1 대결인 **매치플레이**에서 상대방의 퍼트를 인정하여 홀을 비기거나 끝낼 때 사용하는 공식 용어입니다.
이것이 아마추어들의 타수 계산 경기인 스트로크 플레이로 넘어와 '오케이' 또는 '기브(Give)'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짧은 퍼트는 누구나 넣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 경기를 원활하고 빠르게 진행하고, 짧은 퍼팅 실수로 동반자가 스트레스받는 것을 막아주는 배려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오케이' 거리는 어디까지? (암묵적인 룰) 📏
가장 민감하고 논란이 많은 부분입니다. 사실 오케이의 거리에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동반자들의 실력, 그날 경기의 성격(친선 vs 내기)에 따라 달라지는 고무줄과도 같죠. 하지만 대한민국 골퍼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암묵적인 '국룰'은 존재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기준은 바로 **'OK 라인 마커가 그려진 퍼터 그립의 끝부분까지의 거리'**입니다. 보통 홀컵 중앙에 퍼터 헤드를 대고 그립 끝부분까지의 원 안에 공이 들어오면 오케이를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대략 **1m 내외**의 거리입니다.
엄격한 내기 골프가 아니라면, 보통 캐디가 "오케이입니다"라고 말해주는 거리를 따르는 것이 분쟁의 소지가 가장 적습니다.
모두가 즐거운 라운드를 위한 '컨시드 에티켓' 🤝
- 주기 전에 묻지 마라: "이거 오케이죠?"라고 먼저 물어보는 것은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는 행동입니다. 컨시드는 오직 동반자가 '주는' 권한입니다.
- 받으면 감사히: 컨시드를 받았다면 "고맙습니다"라고 감사를 표하고 공을 집는 것이 예의입니다. "한번 쳐볼게요"라며 굳이 퍼팅을 하는 것은 상대방의 호의를 무시하는 행동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 첫 홀은 관대하게: 아직 몸이 덜 풀린 첫 홀에서는 서로에게 조금 더 후한 오케이를 주는 것이 그날의 라운드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듭니다.
- 일관성을 유지하라: 한번 정한 오케이 거리는 18홀 내내 일관성 있게 유지해야 합니다. 중요한 순간에만 갑자기 오케이를 주지 않으면 감정이 상할 수 있습니다.
'오케이' 핵심 요약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자주 묻는 질문 ❓
'오케이'는 단순한 거리의 문제가 아니라, 그날 함께하는 동반자들과의 관계와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소통의 일부입니다. 너그러운 '오케이'와 센스 있는 에티켓으로 모두가 웃으며 마무리하는 즐거운 라운드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