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캐스트)드론 구술시험 완벽 대비!
핵심만 콕콕 짚어 정리한 필수 암기노트
1. 기체 관련 사항
1.1. 드론 종류 (프로펠러 개수 기준)
- 쿼드콥터 (Quad-copter): 프로펠러 4개
- 헥사콥터 (Hexa-copter): 프로펠러 6개 (현재 운영 기체)
- 옥토콥터 (Octo-copter): 프로펠러 8개
- 도데카콥터 (Dodeca-copter): 프로펠러 12개
1.2. 중량
- 자체중량: 20.64kg (배터리 포함)
- 최대이륙중량: 36.64kg
※ 중요: 1종 자격증 기준이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이므로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1.3. 프롭(프로펠러) 사이즈
- 피치(Pitch): 프로펠러가 1회전 했을 때 전진하는 이론적인 거리 (예: 8.8인치)
1.4. 모터
- 종류: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 사용
- 사양(KV): 1V 전압을 가했을 때 1분당 회전수(RPM) (예: 180KV)
1.5. 배터리
- 종류: 리튬 폴리머(Li-Po) 배터리
- 전압 (1셀 기준): 정격 3.7V / 완충 4.2V
- 전압 (6셀 팩 기준): 정격 22.2V / 완충 25.2V
- 방전율(C-Rate): 순간 방출 가능 용량 (예: 25C)
2. 비행 원리 (헥사콥터 기준)
드론은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쪽 프로펠러 회전 속도를 높여 기체를 기울여 이동합니다.
- 전진: 뒤쪽 프로펠러(4, 5번) RPM 증가
- 후진: 앞쪽 프로펠러(1, 2번) RPM 증가
- 좌측 이동: 우측 프로펠러(1, 6, 5번) RPM 증가
- 우측 이동: 좌측 프로펠러(2, 3, 4번) RPM 증가
- 좌측 회전(반시계): 시계방향(CW) 프로펠러(2, 4, 6번) RPM 증가
- 우측 회전(시계): 반시계방향(CCW) 프로펠러(1, 3, 5번) RPM 증가
3. 비행 제어 및 센서
FC (Flight Controller)는 드론의 안정적인 비행을 제어하는 핵심 장치로, 각종 센서의 정보를 종합하여 모터를 제어합니다.
센서 종류 | 주요 기능 | 설명 |
---|---|---|
자이로(Gyro) 센서 | 자세 (각속도) | 기체의 회전 및 기울어짐 측정 |
가속도 센서 | 자세 (가속도) | 각 축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자이로와 함께 수평 유지 |
기압 센서 | 고도 유지 | 대기압을 측정하여 비행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 |
지자기 센서 | 기수 방향 |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여 동서남북 방향(기수) 결정 |
GPS | 위치, 좌표 |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드론의 정확한 위치와 고도 측정 |
IMU | 관성 측정 장치 | 자이로, 가속도, 지자기 센서를 통합하여 속도, 방향 등 측정 |
ESC | 전자 변속기 | FC의 신호를 받아 모터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 |
PMU | 전원 관리 장치 | 배터리 전원을 FC와 각 센서에 맞게 안정적으로 분배 |
4. 법규 및 규정 (★매우 중요★)
4.1. 조종자 준수사항
- 육안 비행: 항상 드론을 시야 내에서 비행
- 인구 밀집 지역 비행 금지
- 야간 비행 금지: 일출 전, 일몰 후 비행 금지
- 음주 비행 금지: 혈중알코올농도 0.02% 이상 시 비행 금지
- 낙하물 투하 금지
- 고도 150m 이상 비행 금지 (승인 시 제외)
- 비행금지구역 등 비행 금지 (승인 시 제외)
준수사항 위반 시 과태료: 300만원 이하 (1차 150만원, 2차 225만원, 3차 300만원)
4.2. 비행 금지 구역
구분 | 명칭 | 설명 | 비행금지 반경 |
---|---|---|---|
비행금지구역 | P73 | 대통령 집무실 및 관저 인근 | 반경 3.7km |
P518 | 휴전선 인근 (경기/강원 북부) | - | |
P61~P65 | 원자력발전소 및 연구소 | 반경 18.6km | |
관제공역 | 관제권 | 공항 및 비행장 주변 | 반경 9.3km |
5. 배터리 관리 및 비상 절차
5.1. 배터리 폐기 방법 (자주 출제)
소금물(물과 소금 5:5 비율)에 3일 정도 담가 완전 방전 후 분리수거합니다.
5.2. 비상 절차
공통 절차: 주위에 "비상!" 또는 "드론 추락합니다!" 라고 큰 소리로 외쳐 상황을 전파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상황 | 대처 순서 |
---|---|
이륙/비행 중 이상 발생 | 1. 상황 전파 → 2. 신속히 착륙 후 점검 → 3. 착륙 불가 시, 나무/전봇대 등에 의도적으로 충돌 |
사고 발생 (인명 피해) | 1. 상황 전파 → 2. 119 신고 (최우선) → 3. 지방항공청 신고 → 4.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신고 |
6. 기타 핵심 사항
6.1. 주요 벌칙 및 과태료
위반 사항 | 처벌 규정 |
---|---|
음주 비행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 |
조종자 증명 없이 비행 | 400만원 이하 과태료 |
안정성 인증 검사 미필 | 500만원 이하 과태료 |
보험 미가입 | 500만원 이하 과태료 |
신고번호 미부착 | 100만원 이하 과태료 |
사고 미보고/거짓보고 | 30만원 이하 과태료 |